경기 아파트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

“실거주와 안정, 두 마리 토끼”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 핵심 리포트
왜 지금, 왜 여기인가
최근 시장은 ‘분양가’보다 실거주 가치 + 프리미엄 잠재력을 동시에 따집니다.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는 공공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으로 가격의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4호선과 GTX-C(예정) 축을 잇는 입지로 중장기 가치 축적이 가능한 단지입니다. 공공택지 민영주택에 적용되는 상한제 틀 안에서 공급돼 분양가 산정 기준(기본형건축비 등)이 고시 체계로 관리된다는 점도 신뢰를 높입니다.
사업개요 한눈에
-
위치: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 90-3 일원(대야미 공공주택지구 B1블록)
-
규모: 지하 2층~지상 27층, 5개 동 502세대(일반 451), 주차 703대
-
입주: 2028년 5월 예정
-
주택형: 61, 63, 84A·B·C(중소형 중심)
-
커뮤니티: 피트니스, GX룸, 골프연습장, 스터디/작은도서관, 키즈카페, 어린이집 등
-
특화: 일부 4~5베이 판상형, 팬트리·드레스룸 등 수납 특화, 에너지효율·녹색건축 예비인증 추진
-
조경/외부: 갈치호수 인접, 지상 어린이놀이터 등 보행 안전 중심 계획
핵심 수치와 커뮤니티 구성은 입주자모집공고 요약본과 공식 안내 영상을 대조해 확인했습니다.
교통과 생활: 출퇴근과 주말이 모두 편해지는 동선
-
대야미역(4호선) 도보권: 사당까지 30분대 직결 가능하다는 현장 소개가 다수이며, 금정에서 GTX-C(예정) 환승 시 강남권·수도권 핵심축 접근성이 확장됩니다.
-
도로망: 군포IC·남군포IC 등을 통한 광역 이동이 수월합니다(공고문 입지 분석 참고).
-
자연·여가: 갈치호수·반월호수, 수리산도립공원과의 근접성으로 주말 힐링 루틴 만들기 좋은 환경입니다.
교육·생활 인프라
지구 내 학교 개교 전에는 초등학생 임시배치(둔대초) 계획이 공고문에 제시되어 있으며, 중·고는 군포·의왕·안양권 학군을 활용합니다. 대야미·송정·부곡 생활권의 상권과 공공편의가 단계적으로 확충되는 구조입니다. 아이 등·하교 동선과 방과후 생활을 미리 그려보신다면, 단지 내 어린이집·작은도서관과 연결한 생활 시나리오가 편리합니다.
평면과 상품성: 4~5베이로 채광·환기·수납을 모두
중소형 위주의 61·63·84㎡ 라인업이 실수요 적합도를 높입니다. 특히 4~5베이 판상형(타입별 상이)과 거실 팬트리, 드레스룸, 알파룸 구성은 수납·동선을 잡으면서도 개방감을 키웁니다. 가족 구성 변화에 맞춘 가변성을 고려하신다면 84㎡ A/B/C 중 수납 구획·창호 배치를 비교해보시길 권합니다.
자금 계획 체크리스트
-
납부 구조(공고문): 계약금 10% – 중도금 60%(이자후불제) – 잔금 30%
-
회차별 중도금 납부 일정과 발코니 확장·유상옵션 별도 여부를 계약 전 반드시 확인
-
상한제 단지 특성상 분양가 총액·전매제한·재당첨 제한(10년) 등의 규제 캘린더 관리 필수
-
취득세·인지세·등기비 등 부대비용은 별도
실제 공고문 기준의 납부일과 제한 요건을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구성했습니다.
시장·제도 트렌드가 주는 시사점
-
분양가 상한제 고시 체계(기본형건축비 등)는 공급 가격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 가격 리스크를 줄입니다.
-
GTX-C는 2028년 개통 목표로 절차를 진행 중이며, 국토부가 일정 관리 의지를 재차 밝힌 바 있습니다. ‘개통 기대 → 수요 유입 → 생활권 확장’의 순환이 중장기 가치를 뒷받침합니다.
공감 사례로 보는 생활 그림
맞벌이 3인 가구 A씨네는 사당·강남으로 출퇴근, 주말엔 수리산 트레킹·갈치호수 산책을 즐깁니다. 집은 84A로 선택, 거실 팬트리에 계절 가전을 넣고 알파룸을 아이 공부방으로 활용합니다. 단지 내 차 없는 동선과 어린이집·도서관이 생활 리듬을 안정시켜, 이사를 통해 시간·돈의 누수를 줄였다는 후기가 대표적입니다.
투자성과 미래가치 관점
상한제 적용으로 초기 진입 가격 안정성을 확보했고, 4호선 + GTX-C 환승 허브(금정·사당권)의 직주근접성이 탄탄합니다. 입주 시점에 생활·상업 시설이 더해질 가능성이 높고, 공공주택지구 내 단계별 공급이 마무리되면 희소성이 부각될 수 있습니다. 다만 GTX-C의 공정·금융 여건 등 변수에 따라 가치 실현 시점은 달라질 수 있어 중장기 보유 관점이 합리적입니다.

